다자녀 혜택 - 꼼꼼히 확인하기
✅집부터 챙기기
요즘 다자녀 가구면
청약 특별공급 문턱이
2자녀 이상으로 낮아졌어요.
예전엔 3자녀 이상이어야 가능했는데,
지금은 둘만 있어도 기회가 생긴 거죠.
무주택기간,
자녀 수,
청약저축 가입기간 등 점수 합산으로 당첨자를 정하고요.
신청은 청약홈(마이홈) 사이트에서
공고 뜨면 접수하면 돼요.
그리고 전세자금 대출도 다자녀면
이자 우대를 해줘요.
버팀목 전세자금이 대표적인데,
은행이나 기금e든든 포털에서 신청하면 돼요.
✅공과금 아끼기
전기요금은 3자녀 이상 가구면 30% 감면,
도시가스 요금도 3자녀 이상이면 감면 대상이고,
지역난방은 월 4,000원씩 깎아주는 제도도 있어요.
이건 한전ON·123콜센터·행정복지센터,
그리고 각 도시가스사·지역난방공사 고객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어요.
주민등록등본·가족관계증명서만 있으면 간단해요.
✅교통비도 꿀팁
KTX는 ‘다자녀 행복’ 제도로
할인받을 수 있어요.
25세 미만 자녀 2명 이상인 가족이
3명 이상 같이 타면,
2자녀 가정은 30%,
3자녀 이상은 50% 할인돼요.
코레일 멤버십에 가족 인증만
해두면 예매할 때 자동으로 할인 적용돼요.
명절 귀성, 주말 여행할 때 진짜 유용해요.
✅차 살 땐 세금 먼저
차를 살 계획이면 꼭
구청 세무과 먼저 들르기!
3자녀 이상이면 취득세 전액 면제,
2자녀는 50% 감면까지 돼요.
단, 차종·가격 한도가 있으니 미리 확인하고,
차량 등록 전에 감면 신청하는 게 제일 중요해요.
✅교육·연금 혜택도
대학생 자녀가 있다면
‘다자녀 국가장학금’ 꼭 챙기세요.
3자녀 이상 가구의 미혼 대학생이면
소득요건만 맞추면 가능성이 커요.
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
학기별로 신청하면 되고요.
부모 입장에서는
출산 크레딧도 꼭 챙기세요.
국민연금 가입기간을
자녀 수만큼 보너스로 더 얹어주는 제도인데,
2026년부터는
첫째 자녀도 인정해주는 개정이 예정돼 있어요.
✅ 한눈에 보는 체크리스트
항목 |
내용 |
신청처 |
필요한 서류 |
청약 특별공급 |
자녀 2명 이상이면 신청 가능 |
청약홈(마이홈) |
주민등록등본, 가족관계증명서, 청약통장 등 |
전세자금대출 |
버팀목 전세자금 다자녀 우대 |
기금e든든 / 은행 |
신분증, 소득증명, 가족관계증명서 |
전기요금 감면 |
3자녀 이상 30% 감면 |
한전ON / 123콜센터 |
주민등록등본, 가족관계증명서 |
도시가스 감면 |
3자녀 이상 요금 경감 |
각 도시가스사 / 행정복지센터 |
등본, 가족관계증명서 |
지역난방 감면 |
월 4,000원 정액 감면 |
지역난방공사 고객센터 |
등본, 가족관계증명서 |
KTX 다자녀 할인 |
2자녀 30% / 3자녀 50% |
코레일 멤버십 |
가족관계증명서 (사전 인증) |
자동차 취득세 감면 |
2자녀 50% / 3자녀 전액 |
구청 세무과 / 위택스 |
가족관계증명서, 차량 관련 서류 |
다자녀 국가장학금 |
3자녀 이상 미혼 대학생 |
한국장학재단 |
소득증명, 가족관계증명서, 재학증명서 |
출산 크레딧 |
자녀수만큼 연금 가입기간 추가 |
국민연금공단 |
가족관계증명서 |
#다자녀#혜택#다자녀혜택#2자녀#3자녀#다자녀감면#다자녀할인#장학금#다자녀장학금#전기요금감면#도시가스감면#지역난방감면#KTX다자녀할인#출산크레딧
#다자녀#혜택#다자녀혜택#2자녀#3자녀#다자녀감면#다자녀할인#장학금#다자녀장학금#전기요금감면#도시가스감면#지역난방감면#KTX다자녀할인#출산크레딧